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고리즘데이
- 박재성
- 2021.01.21
- SWEA
- algorithm
- Til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코드스쿼드
- 백준 1149
- 백준 9093
- baekjoon1541
- 괄호
- 자바
- 2020.01.08
- 2021.01.06
- 2021.01.18
- 2021.01.17
- spring-boot
- 2021.01.19
- 2021.01.14
- 2021.01.13
- 잃어버린 괄호
- 백준
- 알고리즘
- 2021.01.11
- 2021.01.22
- 코드스쿼드 마스터즈
- java
- 2021.01.12
- 마스터즈 2주차 회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0)
Cooper's devlog
[Good] 프로세스 정리 프로세스(Process) (※위 내용은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의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부족한 내용이나 수정할 내용있으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1. 프로세스 : 하나의 작업 단위] 해당 코드가 pbg0205.tistory.com [Bad] 컨디션 조절 실패😢 오늘 하루 계속해서 집중 못함; 운동 못한 건 덤🥵; [TIL] CS50 강의 시작하기 주말에 쓰레드 정리 알고리즘 문제 풀이 [자만하지말고 컨디션 관리하자.] 이번 미션은 CS에 관한 지식의 필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미션이었다. 이전 미션들은 코드를 어떻게 작성할지, 어떤 자바의 문법을 사용하지에 초점을 두었지만 이번 미션에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프로세스와 쓰레드에 대한 개념..

(※위 내용은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의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부족한 내용이나 수정할 내용있으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1. 프로세스 : 하나의 작업 단위] 해당 코드가 메모리에 올라와서 작업이 진행된다. 프로그램 :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적인 상태 프로세스 : 실행을 위해 메모리에 올라온 동적인 상태 컴퓨터 시스템의 작업 단위로 테스크(Task)라고 부른다. 프로세스는 각 별도의 주소공간을 할당한다. = '프로그램'이 메모리 상에 올라오면 '프로세스' [2.프로세스의 5가지 상태] 생성 상태(create status):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가져와 실행 준비된 상태 OS로 부터 PCB를 할당 받은 상태 생성된 프로세스는 PCB와 함께 준비 상태로 옮겨진다. 준비 상태(re..
[알고리즘 데이] 이번주 알고리즘 문제는 프로그래머스 문제였다. 이전에는 문제가 6문제였는데 CS10 과정이 절반만큼 온만큼 쉬어가는 의미로 4문제만 풀 수 있게 할당하셨다. 문제를 확인해봤더니 풀어본 문제들이 많았지만 옛날에 풀어본 것들이라 리팩토링 할겸 코드를 다시 작성했다. 그리고 남은 시간에 알고리즘 한문제를 추가로 풀었지만 해결하지 못했다.😢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 코딩테스트 연습 - 큰 수 만들기 programmers.co.kr 문제 내용은 숫자들 중 k를 제거해서 가장 큰 수를 찾는 문제였다. 그래서 조합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기본 조합 문제의 경우 back tracking을 사용해서 문제를 푸는 방식이지만 기억이 나질 않아 비트마스크를 적용했다. 비트마스크란 이진수의 1..

[FP 미션 마무리] 어제 Functional Interfac를 return type으로 전달하려는 시도는 포기했다. 아직 함수형 인터페이스 새내기가 전공 심화를 하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나의 수준에 맞게 전공 기초에 초첨을 맞춰서 코드를 작성하기로 했다. 우선 메서드로 선언한 형태를 자바 라이브러리에 있는 함수형 인터페이스(ex. Function, Predicate...)를 선언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그래서 각각의 Input type, return type에 맞는 함수를 선언해서 모든 메서드들을 함수형 변수로 변경시켰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서 버벅거렸지만 계속해서 하나, 두개씩 변경해 나가다보니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인가보다😑 [변경한 코드] class ClassifierAlph..
[함수형 인터페이스 시작하기] 원래 예전부터 문제를 접할 때, 설명이 짧고 내용이 없어보이는 것이 어려운 문제라고 했다. 오늘이 이 예를 들기 참 좋은 날인 것 같다. 처음 미션을 받았을 때는 stream과 공통된 부분을 클래스 분리해서 상속을 받아 처리하면 끝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예상한 내용을 모두 구현했다. 빨리 끝냈다는 기분과 함께 점심을 먹으려 가려고 하던 도중 각자 어떻게 코드를 구현했는지 이야기가 나왔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의가 함수를 매개인자로 받아서 로직을 처리하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그 내용을 듣고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구현을 해야겠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이전에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많이 사용한 경험이 없었다. 실제 ..